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 실기 파트 중 수변전 설비 단선 결선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표준 심벌의 약호, 명칭, 용도 및 역할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보고, 읽고, 쓰기를 반복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익혀질 것입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우선 수변전 설비에서 단로기, 차단기, 변압기 등 전기기계 기구를 심벌(단선도)로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먼저 한 번 쭉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각 경우에 따른 표준 결선도를 함께 첨부합니다.
★ ★ ★ ★ ★
실기 시험에는 결선도 그리라는 문제가 출제되니 심벌, 약호, 명칭, 용도 및 기능은 외워야 합니다.
특고압 수전설비 표준 결선도
1) CB 1차측에 CT를, CB 2차측에 PT를 시설하는 경우
2) CB 1차측에 CT와 PT를 시설하는 경우
3) CB 1차측에 PT를, CB 2차측에 CT를 시설하는 경우
고압 수전설비의 단선 결선도
명칭과 약호에 대한 용도 및 역할 정리
● CH, 케이블 헤드: 가공전선과 케이블 단말(종단) 접속
● DS, 단로기: 무부하 전류 개폐, 회로의 접속 변경, 기기를 전로로부터 개방
● LA, 피뢰기: 뇌전류를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 차단
● PF, 전력 퓨즈: 단락 전류 차단, 부하 전류 통전
● MOF,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하여 고전압과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로 변성
※ 여기서 적산이란, 측정하거나 계산한 값을 차례차례로 더해 감. 또는 그 합계.
● ZCT, 영상 변류기: 지락전류의 검출
● PT, 계기용 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 CB, 차단기: 부하 전류 및 사고 전류의 차단
● TC, 트립 코일: 보호 계전기 신호에 의해 차단기 개로
● CT, 변류기: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
● GR, 접지 계전기: 영상 전류에 의해 동작하며, 차단기 트립 코일 여자
※ 접지 계전기는 영상 변류기와 함께 사용
● OCR, 과전류 계전기: 과전류에 의해 동작하며, 차단기 트립 코일 여자
● VS,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 1대의 전압계로 3상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환 개폐기
● AS, 전류계용 전환 개폐기: 1대의 전류계로 3상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환 개폐기
● V, 전압계: 전압 측정
● A, 전류계: 전류 측정
● SC, 전력용 콘덴서 (방전코일내장): 진상 무효 전력을 공급하여 역률 개선
● DC, 방전 코일: 잔류 전하 방전
● SR, 직렬 리액터: 제5고조파 제거
● COS, 컷아웃 스위치: 기계 기구(변압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
문제 1.
표를 완성하시오.
약호 | 명칭 | 용도 및 역할 |
CH | ||
PF | ||
MOF | ||
LA | ||
PT | ||
VS | ||
CT | ||
OCR | ||
SC | ||
TR |
답
약호 | 명칭 | 용도 및 역할 |
CH | 케이블 헤드 | 케이블의 종단을 단심인 옥내선 또는 가동선에 접속할 때 수용지점(변전소)의 입상 부분 등에 사용 |
PF | 전력 퓨즈 | 회로 및 기기의 단락보호용으로 사용 |
MOF | 전력 수급용 계기용 변압기 |
적산전력량계용 PT와 CT를 한 탱크 속에 넣은 것 |
LA | 피뢰기 | 이상 전압을 대지로 방전시키고 그 속류를 차단 |
PT | 계기용 변압기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계기나 계전기의 전압원으로 사용 |
VS |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 | 3상 회로에서 각 상의 전압을 1개의 전압계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환 스위치 |
CT | 변류기 | 대전류 및 고압 회로의 전류를 안전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고압 회로로부터 절연하여 소전류로 변환 |
OCR | 과전류 계전기 | 과부하 및 단락 사고시 차단기 트립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여 차단기를 개로 |
SC | 전력용 콘덴서 | 부하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 |
TR | 변압기 | 교류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지기기 |
문제 2.
다음 회로도는 펌프용 3.3 [kV] 모터 및 GPT 단선 결선도이다. 번호 7~12로 표시된 전기기계 기구의 명칭과 용도를 간단히 기술하라.
번호 | 명칭 | 용도 (간단히 기술) |
7 | ||
8 | ||
9 | ||
10 | ||
11 | ||
12 |
답
번호 | 명칭 | 용도 (간단히 기술) |
7 | 전력 퓨즈 | 단락 사고 시 기기를 전로로부터 분리하여 사고 확대 방지 |
8 | 개폐기 | 전동기의 기동 정지 |
9 | 직렬 리액터 | 제5고조파 제거 |
10 | 방전 코일 | 잔류 전하의 방전 |
11 | 전력용 콘덴서 | 역률 개선 |
12 | 영상 변류기 | 지락 사고시 지락 전류를 검출 |
문제 3.
아래 표를 채우시오
명칭 | 약호 | 용도 (역할) |
CH | ||
단로기 | ||
LA | ||
전력 퓨즈 | ||
MOF | ||
영상 변류기 | ||
PT | ||
차단기 | ||
TC | ||
변류기 |
접지 계전기 (지락 계전기) | ||
OCR | ||
VS | ||
AS | ||
전압계 | ||
전류계 | ||
SC | ||
방전 코일 | ||
직렬 리액터 | ||
COS |
답
이번 글에서는 특고압, 고압, 모터 등 수전 설비, 수변전 설비 표준 결선도에 쓰이는 심벌, 약호, 명칭, 용도 및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전기기사 실기에서는 전기기계 기구의 개념 및 용도를 넘어서, 결선도를 이해하고 직접 그릴 수 있는지 물어보기 때문에 위 내용은 꼭 이해하고 암기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기기사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Engineering > 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첩의 원리란? 적용 방법, 다수 전원이 포함된 회로 (0) | 2025.05.02 |
---|---|
테브난의 정리, 노턴의 정리란? (0) | 2025.04.29 |
전기기사 논리식, 논리등가회로, 드모르간의 법칙, 불 대수 (0) | 2025.04.21 |
진상 전류, 지상 전류란? 개념, 공식, 활용, 둘의 관계 (0) | 2025.03.28 |
인덕터, 상호 인덕턴스란? 개념, 공식, 유도 전압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