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emi engineer's study room
반응형

Engineering/회로6

전기기사 수변전 설비 결선도에 쓰이는 약호, 명칭, 용도(역할)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 실기 파트 중 수변전 설비 단선 결선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표준 심벌의 약호, 명칭, 용도 및 역할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보고, 읽고, 쓰기를 반복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익혀질 것입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우선 수변전 설비에서 단로기, 차단기, 변압기 등 전기기계 기구를 심벌(단선도)로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먼저 한 번 쭉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각 경우에 따른 표준 결선도를 함께 첨부합니다.★ ★ ★ ★ ★ 실기 시험에는 결선도 그리라는 문제가 출제되니 심벌, 약호, 명칭, 용도 및 기능은 외워야 합니다. 특고압 수전설비 표준 결선도1) CB 1차측에 CT를, CB 2차측에 PT를 시설하는 경우 2) CB 1차측에 CT와 PT를 시설하는 경우 3) CB 1차측에 PT를, C.. 2025. 5. 21.
중첩의 원리란? 적용 방법, 다수 전원이 포함된 회로 안녕하세요. 바로 이전 글인 테브난 정리, 노턴의 정리에 이어 오늘은, 중첩의 원리에 대해 간단하지만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3가지 개념들은 대학 전공인 회로이론에서 배우는 내용인데요, 이는 전기기사의 회로이론 파트에도 자주 출제되는 개념들입니다. 다수의 전원이 있는 회로를 볼 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중첩의 원리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중첩의 원리(Superposition)란?선형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입력이 동시에 작용할 때 (하나의 회로에 다수의 전원이 존재할 때) 그 결과는 각 입력에 대한 개별 반응의 합과 같다는 원리입니다.예를 들어, 만약 선형 시스템이고, 입력 A1이 결과 R1을 만들고, 입력 A2가 결과 R2를 만든다면입력 A1 + A2 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은 R .. 2025. 5. 2.
테브난의 정리, 노턴의 정리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 회로이론 부분인 테브난 정리와 노턴 정리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필기 기출 문제 풀이를 하며 느낀 것은 테브난, 노턴 정리 보다는 중첩의 원리를 이용한 문제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테브난, 노턴의 정리와 관련된 문제들도 자주 출제되므로 위 개념 모두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참고로 제가 작성하는 모든 글은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테브난 정리와 노턴 정리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왜 이러한 정리를 사용하는가? 에 대해서 간단히 다뤄보겠습니다. 테브난의 정리와 노턴의 정리를 잘 이해하고 응용한다면, 그 어떤 복잡한 회로도 간단한 등가회로로 만들어버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등가회로란?실제 회로의 구.. 2025. 4. 29.
전기기사 논리식, 논리등가회로, 드모르간의 법칙, 불 대수 전기기사 제어공학 파트의 논리등가식과 논리표(진리표), 불 대수, 드모르간의 법칙에 대해 설명한 뒤, 실제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를 풀어보면서 개념 이해를 해보겠습니다. 위 개념들은 회로 이론의 기초 중 하나고, 제어 시스템에서도 많이 활용됩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논리등가식(Logical Equivalence Equation)● 정의:논리등가식은 논리 연산자(AND, OR, NOT 등)를 이용해서 어떤 논리 회로나 제어 조건을 수식으로 표현한 것입니다.쉽게 말해, 여러 입력 신호가 있을 때 이들이 어떤 조건을 만족할 때 출력이 1(참)이 되는지를 수식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 ● 주요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기호만 보고도 무슨 연산자인지 아셔야 합니다.✅ 논리표(진리표, Trut.. 2025. 4. 21.
진상 전류, 지상 전류란? 개념, 공식, 활용, 둘의 관계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의 전력 공학을 공부하면 자주 볼 수 있는 용어인 진상 전류와 지상 전류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전기기사를 공부하면 전문 용어 때문에 개념 이해 또는 문제 풀이 시 어려움을 많이 겪습니다. 저도 공부하면서 헷갈리고 몰랐던 용어들에 대해서 공부하는 차원으로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위 전류의 개념, 공식에 대해서 이해하신 뒤, 예제 문제를 풀어보면서 잘 이해하셨는지 검증해 보는 시간을 가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진상전류와 지상전류 (Leading & Lagging Current)진상전류와 지상전류는 교류(AC)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Phase Difference)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특히, 교류 회로에서 리액턴스(Inductive, Capacit.. 2025. 3. 28.
인덕터, 상호 인덕턴스란? 개념, 공식, 유도 전압 전기기사 회로이론 부분에서 출제되는 인덕터와 상호 인덕턴스, 그리고 이와 관련된 공식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관련 문제들도 있으니 문제 풀이해보고 답을 맞춰보시길 바랍니다. 틀린 문제에 대해서는 개념과 공식을 다시 익히신 후, 오답 풀이를 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그럼 인덕터에 대해서 알아볼까요?1. 인덕터의 전압-전류 관계인덕터의 전압과 전류는 다음의 기본적인 미분 방정식으로 표현됩니다.여기서,vL​ : 인덕터 양단의 전압 (단위: V)L : 인덕턴스 (단위: H, Henry)di/dt​ : 인덕터를 흐르는 전류의 시간에 대한 변화율이 식은 전류의 변화량이 있을 때만 인덕터에 전압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전류가 일정하면 인덕터의 전압은 0V가 됩니다.2. 전류 방향과 전압 극성(1) 패..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