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his or that
반응형

Engineering/전자기학3

패러데이 법칙, 렌츠의 법칙 전자기 유도 현상은 우리 일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전기, 모터, 변압기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 기기의 원리가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 법칙이 바로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과 렌츠의 법칙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이 두 법칙의 원리와 수식을 이해하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볼까요? 패러데이의 법칙 & 렌츠의 법칙패러데이와 렌츠의 법칙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법칙입니다.1.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 (Faraday's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정의:변화하는 자기장은 전압(기전력, EMF)을 유도하며, 이때의 유도 기전력(E)은 자기선속(Φ)의 시간 변화율에 비례한다. 여기서,E : 유도 기전력(V)N : 코일의 감은 수Φ : .. 2025. 3. 18.
플레밍 왼손 법칙, 오른손 법칙, 오른 나사 법칙 쉬운 정리 플레밍의 손 법칙은 전자기학에서 전류, 자기장, 힘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하는 아주 기본적이고 중요한 규칙입니다. 크게 플레밍의 왼손 법칙과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이 있으며, 이와 별도로 암페어의 오른 나사(오른손) 법칙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법칙들의 방법, 손가락 배치 설명과 더불어 비교,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도 준비해보았으니 이해한 개념을 바탕으로 문제도 풀어보세요!1. 플레밍의 왼손 법칙 (Fleming’s Left-Hand Rule)사용 분야: 전동기(모터, Motor)에서 힘의 방향을 구할 때 사용목적: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내에서 받을 힘(운동 방향)을 예측방법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서로 직각(90도)으로 펴고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엄지(Thum.. 2025. 3. 18.
정전용량이란? 개념 정리 및 공식 정리 정전용량은 전도체가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도체의 형태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 구형 축전기는 두 개의 도체 사이에서 전위를 형성하는 반면, 단독 구 도체는 무한 원점을 기준으로 전위를 계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평행판, 구형, 원통형 축전기의 정전용량 공식과 특징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정전용량(Capacitance) 개념과 공식 정리정전용량(𝐶)은 전도체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단위는 패럿(F, Farad) 입니다.기본적으로 정전용량은 전압(𝑉)과 전하(𝑄) 사이의 관계로 정의됩니다.​여기서,C : 정전용량 (F, 패럿)Q : 저장된 전하량 (C, 쿨롱)V : 전압 (V, 볼트)1. 평행판 축전기 (Parallel Plate Capacitor)두 개의 평행한.. 2025.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