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emi engineer's study room
반응형

전기기사 필기6

전기기사 실기 11년도 단답 문제 및 개념 정리 전기기사 실기 공부를 위해 교재 속 '전기기사 실기 11년도 단답 문제' 모음 및 개념 정리 글입니다. 전기기사 실기 시험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1. 수전전압 22.9[kV-Y]에 진공차단기와 몰드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 개폐시 이상전압으로부터 변압기 등 기기보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LA와 같은 구조와 특성을 가진 것은?서지 흡수기(SA) *서지흡수기: 피뢰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나 적용 전압 범위만을 조정하여 적용시키는 일종의 옥내 피뢰기로서 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폐 서지, 순간 과도전압 등의 이상전압이 2차 기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2. 사용 중의 변류기 2차측을 개로하면 변류기에는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 원인과 결과를 쓰시오.변류기 2.. 2025. 6. 13.
전기기사 실기 10년도 단답 문제 및 개념 정리 전기기사 실기 공부를 위해 교재 속 '전기기사 실기 10년도 단답 문제' 모음 및 개념 정리 글입니다. 전기기사 실기 시험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1. 가스절연 개폐장치(GIS)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1) GIS 의 장점 4가지.ㄱ. 소형화 할 수 있다. (옥외 철구형 변전소의 1/10 ~ 1/15)ㄴ. 충전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안정성이 높다.ㄷ. 소음이 적고 환경 조화를 기할 수 있다.ㄹ. 대기 중의 오염물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신뢰도가 높다. 2) GIS에 사용되는 가스는?SF6(육불화유황) 가스 2.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1) 변압기의 호흡작용이란 무엇인가?변압기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변압기 내부에 있는 절연유의 부피가 수축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 2025. 6. 13.
전기기사 KEC 전기설비 기출 문제 글 작성자가 전기기사 필기 공부하다가 헷갈려서 작성해본 "과년도 2024 KEC 전기설비" 관련 기출 문제 14개 입니다. 전기기사 필기를 준비하고 계시다면 검증 및 복습 겸 한번 풀어보세요. (참고로 전기기사 필기 cbt 문항으로 랜덤 출제되었던 문제들입니다.)Q1. 다음 중 이상 시 상정하중에 속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① 각도주에 있어서의 수평횡하중② 전선배치가 비대칭으로 인한 수직편심하중③ 전선 절단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에 의한 하중④ 전선로에 현저한 수직각도가 있는 경우의 수직하중 답: ② 전선배치가 비대칭으로 인한 수직편심하중해설: 이상 시 상정하중; 철탑의 강도계산에 사용하는 이상 시 상정하중은 풍압이 전선로에 직각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의 하중을 전선 및 가섭선의 절단으로 인한 불평균하중을.. 2025. 5. 14.
와류손이란? 개념, 원인, 특징, 관련 문제 이번 글에서는 변압기 손실 중에서 무부하손 -> 철손 -> 와류손의 개념, 원인,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다뤄보고 마지막에는 관련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이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는 무부하손 중 히스테리시스손에 대해 다뤄봤는데, 위 개념에 대해서도 궁금하시면 이전 글을 함께 읽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와류손(Eddy Current Loss)이란?와류손은 교류 자기장이 변화할 때, 도체 내부에 유도전류(와류)가 발생하여 생기는 에너지 손실입니다. 이 손실은 철심 내부에 흐르는 불필요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 손실로, 전동기, 변압기, 발전기 등의 철심이 교류 자기장에 노출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회전자와 같은 철판에 유기되는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2025. 4. 15.
히스테리시스손이란? 원인, 특징, 전기기사 문제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 필기 문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손'의 개념, 원인, 특징 그리고 관련 전기기사 문제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문제를 보면 히스테리시스손이 뭐지? 하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번 글을 통해 변압기 손실 중에서 '히스테리시스 손'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련 지식을 쌓는 데 도움이 되고자 작성해보았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 히스테리시스손이란?철심이 교류 전류에 의해 자화되었다가 탈자되는 과정에서 자화 방향이 바뀔 때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은 주로 자기 이력 곡선 (Hysteresis Loop)의 면적에 해당됩니다. 철심 내부에서 도메인(자구)들이 방향을 바꾸는 데 에너지가 들기 때문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열로 방출되기 때문에 기기 발열의 원인이 되고.. 2025. 4. 14.
피뢰기와 피뢰침, 둘의 차이점은? 피뢰기와 피뢰침은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데, 하는 일이 완전히 다릅니다. 이번 글을 통해 피뢰기와 피뢰침의 개념과 작동 원리, 설치 위치 등을 쉽게 배우고, 관련 문제들을 풀어보면서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전기기사 또는 전력 관련 공부를 하시는 모든 분들 좋은 결과 있으시길 응원합니다 :) 1. 피뢰기 (Lightning Arrester) – 전기 회선을 보호하는 보디가드📌 역할: 고압 전력선이나 전기 장비를 벼락(낙뢰)이나 이상 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 어떻게 작동할까?낙뢰나 갑작스러운 이상 전압이 발생하면, 피뢰기가 이를 감지함.전력선에 너무 높은 전압이 흐르면, 피뢰기가 순간적으로 전류를 땅(접지) 으로 흘려보냄.전압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회로를.. 2025. 3.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