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his or that
반응형

전력공학4

코로나 방전이란? 발생 원리, 특징, 섬락과 차이점 안녕하세요. 이번 글은 코로나 방전의 의미와 발생 원리, 발생 조건, 특징, 문제점, 방지 대책과 함께 '섬락'과 비교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이로써 전력 설비 및 전력 시스템에 발생할 수 있는 코로나 방전에 대해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이란?코로나 방전(코로나 방전, Corona Discharge)은 고전압 전선이나 전력 설비 주변에서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약한 방전 현상입니다.완전한 절연 파괴(섬락)와는 다르게, 코로나 방전은 비교적 낮은 에너지 수준에서 발생하지만 장기적으로 절연 성능 저하, 전력 손실, 전자기 간섭(EMI)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방전의 발생 원리전선이나 애자(절연체) 주변에는 전기장이 형성됨... 2025. 3. 19.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전문 용어 간단 정리본 전기기사를 공부하면서 처음 보는 용어들도 많고, 평상시에 잘 안 쓰이는 용어들 때문에 개념을 이해하시는 데 많이 어려우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핵심 전문 용어들을 간단하게 정리하여 전기기사를 준비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작성해보았습니다. 핵심 용어들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셔서 전기기사 준비 잘하시길 응원합니다! ※ 전기 기본 개념전압 (V, Voltage): 전기를 밀어주는 힘 (예: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과 같음).전류 (A, Ampere): 전기의 흐름 (예: 수도관을 흐르는 물의 양).저항 (Ω, Ohm):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 (예: 좁은 수도관은 물이 적게 흐르는 것과 같음).전력 (W, Watt): 실제로 사용되는 전기의 양 (전압 × 전류).. 2025. 3. 16.
전기 사고 비교: 단락 사고, 지락 사고, 과부하 사고 전기 사고는 크게 단락 사고(Short Circuit), 지락 사고(Ground Fault), 과부하 사고(Overload Fault)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개념과 발생 원인, 문제점, 그리고 보호 대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단락 사고(Short Circuit)(1) 개념단락 사고는 전선 간(Phase-to-Phase) 또는 전선과 중성선(Neutral) 간이 비정상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정상적으로 전류는 부하를 통해 흐르지만, 단락이 발생하면 부하를 거치지 않고 저항이 거의 없는 경로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즉, 본래 전선을 따라 자기가 갈 길을 잘 가야 하는데 나가는 전류와 들어오는 전류가 충돌해버리면 사고가 일어납니다. 보통 쇼트(.. 2025. 3. 14.
아크 현상(Arc Fault)이란? 발생 원인, 과정, 특징 아크(Arc) 발생 원리아크(Arc)란 높은 전압이 인가될 때 기체 중에서 강한 전류가 흐르며 형성되는 전기 방전 현상이다. 아크 방전은 지속적인 플라즈마 상태를 형성하며, 열과 빛을 강하게 방출하는 특징이 있다. 아크 발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1. 아크 발생 조건아크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전압 또는 고전류공기나 절연체를 통한 강제적인 전류 흐름을 유도할 정도의 충분한 전압이 필요하다.일반적으로 30kV/cm 이상의 전계 강도가 가해지면 절연 파괴가 발생한다.전극 간의 작은 간격전극 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전계 강도가 높아지며, 방전이 쉽게 일어난다.이온화된 경로 형성공기 또는 기체가 이온화되면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된다.외부 에너지원(스파크, 고온, 방사선.. 2025.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