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emi engineer's study room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9

전기기사 수변전 설비 결선도에 쓰이는 약호, 명칭, 용도(역할)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 실기 파트 중 수변전 설비 단선 결선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표준 심벌의 약호, 명칭, 용도 및 역할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보고, 읽고, 쓰기를 반복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익혀질 것입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우선 수변전 설비에서 단로기, 차단기, 변압기 등 전기기계 기구를 심벌(단선도)로 어떻게 표현하는지를 먼저 한 번 쭉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각 경우에 따른 표준 결선도를 함께 첨부합니다.★ ★ ★ ★ ★ 실기 시험에는 결선도 그리라는 문제가 출제되니 심벌, 약호, 명칭, 용도 및 기능은 외워야 합니다. 특고압 수전설비 표준 결선도1) CB 1차측에 CT를, CB 2차측에 PT를 시설하는 경우 2) CB 1차측에 CT와 PT를 시설하는 경우 3) CB 1차측에 PT를, C.. 2025. 5. 21.
전기기사 KEC 전기설비 기출 문제 글 작성자가 전기기사 필기 공부하다가 헷갈려서 작성해본 "과년도 2024 KEC 전기설비" 관련 기출 문제 14개 입니다. 전기기사 필기를 준비하고 계시다면 검증 및 복습 겸 한번 풀어보세요. (참고로 전기기사 필기 cbt 문항으로 랜덤 출제되었던 문제들입니다.)Q1. 다음 중 이상 시 상정하중에 속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① 각도주에 있어서의 수평횡하중② 전선배치가 비대칭으로 인한 수직편심하중③ 전선 절단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에 의한 하중④ 전선로에 현저한 수직각도가 있는 경우의 수직하중 답: ② 전선배치가 비대칭으로 인한 수직편심하중해설: 이상 시 상정하중; 철탑의 강도계산에 사용하는 이상 시 상정하중은 풍압이 전선로에 직각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의 하중을 전선 및 가섭선의 절단으로 인한 불평균하중을.. 2025. 5. 14.
전기기사 직류 전동기 속도 특성 곡선이란? 오늘은 직류 전동기의 속도 특성 곡선과 함께 전동기의 동작 특성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직류 전동기의 속도 특성에 대해서 알아본 뒤, 종류별 직류 전동기를 비교해보고, 직류 전동기 유형에 따른 속도 - 토크 그래프를 다뤄보겠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 직류 전동기의 속도 특성이란? 직류 전동기의 속도 특성이란, 전동기의 속도(회전수, rpm)가 부하 토크나 전압, 계자 전류 등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나타낸 곡선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 3가지의 특성 곡선이 있습니다.1. 속도 - 토크 특성 (N - T 곡선)2. 속도 - 전류 특성 (N - I 곡선)3. 속도 - 전압 특성 (N - V 곡선)이중 가장 대표적인 곡선은 1. 속도 - 토크 특성 곡선입니다.🔹 2. 속도-토크 특성.. 2025. 5. 7.
중첩의 원리란? 적용 방법, 다수 전원이 포함된 회로 안녕하세요. 바로 이전 글인 테브난 정리, 노턴의 정리에 이어 오늘은, 중첩의 원리에 대해 간단하지만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3가지 개념들은 대학 전공인 회로이론에서 배우는 내용인데요, 이는 전기기사의 회로이론 파트에도 자주 출제되는 개념들입니다. 다수의 전원이 있는 회로를 볼 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중첩의 원리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중첩의 원리(Superposition)란?선형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입력이 동시에 작용할 때 (하나의 회로에 다수의 전원이 존재할 때) 그 결과는 각 입력에 대한 개별 반응의 합과 같다는 원리입니다.예를 들어, 만약 선형 시스템이고, 입력 A1이 결과 R1을 만들고, 입력 A2가 결과 R2를 만든다면입력 A1 + A2 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은 R .. 2025. 5. 2.
테브난의 정리, 노턴의 정리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 회로이론 부분인 테브난 정리와 노턴 정리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필기 기출 문제 풀이를 하며 느낀 것은 테브난, 노턴 정리 보다는 중첩의 원리를 이용한 문제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테브난, 노턴의 정리와 관련된 문제들도 자주 출제되므로 위 개념 모두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참고로 제가 작성하는 모든 글은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테브난 정리와 노턴 정리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왜 이러한 정리를 사용하는가? 에 대해서 간단히 다뤄보겠습니다. 테브난의 정리와 노턴의 정리를 잘 이해하고 응용한다면, 그 어떤 복잡한 회로도 간단한 등가회로로 만들어버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등가회로란?실제 회로의 구.. 2025. 4. 29.
전동기, 발전기의 무부하 상태? 전부하 상태? 위상특성곡선 안녕하세요. 저번 글에 이어 전동기 발전기에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하는 무부하 상태와 전부하 상태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위 개념들은 배움으로써 전동기와 발전기, V 곡선의 심화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 1. 무부하 상태 (No Load Condition) 무부하 상태는 말 그대로 아무 부하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예를 들어, 전동기가 돌긴 도는데 돌려야 할 기계나 장비가 아무것도 없거나,발전기가 돌아가고 있지만 전기를 소비하는 기기(부하)가 없는 경우가 이와 같습니다. 무부하 상태는 부하가 없기 때문에 출력 전력은 거의 0에 가깝습니다.그러나, 전동기는 회전하고 있고 발전기는 전압을 만들고 있는 상황입니다.???????????전동기는 회전 중, 발전.. 2025.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