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his or that
Engineering/전자기학

플레밍 왼손 법칙, 오른손 법칙, 오른 나사 법칙 쉬운 정리

by favdays 2025. 3. 18.

플레밍 오른손 법칙, 왼손 법칙
플레밍 오른손 법칙, 왼손 법칙

플레밍의 손 법칙은 전자기학에서 전류, 자기장, 힘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하는 아주 기본적이고 중요한 규칙입니다. 크게 플레밍의 왼손 법칙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이 있으며, 이와 별도로 암페어의 오른 나사(오른손) 법칙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법칙들의 방법, 손가락 배치 설명과 더불어 비교,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제도 준비해보았으니 이해한 개념을 바탕으로 문제도 풀어보세요!


1. 플레밍의 왼손 법칙 (Fleming’s Left-Hand Rule)

  • 사용 분야: 전동기(모터, Motor)에서 힘의 방향을 구할 때 사용
  • 목적: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내에서 받을 힘(운동 방향)을 예측

방법

플레밍 왼손법칙
플레밍 왼손법칙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서로 직각(90도)으로 펴고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 엄지(Thumb): 힘(운동)의 방향 (Force)
  • 검지(Index Finger): 자기장의 방향 (Magnetic Field, B)
  • 중지(Middle Finger): 전류의 방향 (Current, I)

📌 예제
만약 자기장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고, 전류가 위쪽(↑)으로 흐르면, 도체는 손에서 바깥 방향(사용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2.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Fleming’s Right-Hand Rule)

  • 사용 분야: 발전기(Generator)에서 유도 전류의 방향을 구할 때 사용
  • 목적: 도체가 자기장 내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방향을 예측

방법

플레밍 오른손법칙
플레밍 오른손 법칙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서로 직각(90도)으로 펴고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 엄지(Thumb): 도체의 운동 방향 (Motion)
  • 검지(Index Finger): 자기장의 방향 (Magnetic Field, B)
  • 중지(Middle Finger): 유도 전류의 방향 (Induced Current, I)

📌 예제
자기장이 위에서 아래(↓)로 형성된 상태에서 도체가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유도 전류는 손에서 바깥 방향(사용자의 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른다.


3. 암페어의 오른 나사(오른손) 법칙 (Right-Hand Screw Rule)

  • 사용 분야: 전류와 자기장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
  • 목적: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구하기 위해 사용

방법

오른 나사의 법칙 (출처: 사이언스올)

 

오른손의 엄지를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뻗고, 나머지 손가락을 말아 쥐었을 때 손가락이 감기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입니다.

📌 예제
직선 도선에 전류가 위로(↑) 흐르면, 자기장은 도선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왼쪽으로 돌면서 올라가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정리

 

이 세 가지 법칙을 잘 활용하면 전자기학에서 힘, 전류, 자기장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플레밍 법칙과 암페어의 오른손 나사 법칙을 확실히 이해하기 위해 관련 문제들도 풀어볼까요?


 

1. 플레밍의 왼손 법칙 관련 문제 (전동기)

문제 1

자기장이 동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류가 위쪽 방향(↑)으로 흐르는 도체가 있다. 이 도체가 받을 힘의 방향은 어디인가?

  1. 동쪽(→)
  2. 서쪽(←)
  3. 화면 안쪽
  4. 화면 바깥쪽

문제 2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해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전류의 방향을 바꾼다.
  2. 자기장의 방향을 바꾼다.
  3. 도체의 길이를 늘린다.
  4. 도체의 위치를 바꾼다.

2.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관련 문제 (발전기)

문제 3

자기장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체가 오른쪽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유도 전류의 방향은?

  1. 오른쪽(→)
  2. 왼쪽(←)
  3. 화면 안쪽
  4. 화면 바깥쪽

문제 4

발전기에서 유도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만들기 위해 할 수 없는 방법은?

  1. 자기장의 방향을 바꾼다.
  2. 도체의 운동 방향을 바꾼다.
  3. 전류의 방향을 바꾼다.
  4. 도체의 길이를 늘린다.

3. 오른손 나사 법칙 관련 문제 (자기장)

문제 5

직선 도선에 전류가 위쪽 방향(↑)으로 흐를 때, 도선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은?

  1. 시계 방향
  2. 시계 반대 방향
  3. 왼쪽에서 오른쪽
  4. 오른쪽에서 왼쪽

문제 6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코일 내부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법칙은?

  1. 플레밍의 왼손 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3. 오른손 나사 법칙
  4. 뉴턴의 운동 법칙

문제 정답

문제 1 정답: 4) 화면 바깥쪽

  • 검지(자기장) → 동쪽(→)
  • 중지(전류) → 위쪽(↑)
  • 왼손을 이용해 엄지를 펴면 화면 바깥쪽을 가리킴 → 정답은 4번

문제 2 정답: 3) 도체의 길이를 늘린다.

  •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려면 전류 방향을 바꾸거나, 자기장의 방향을 바꾸는 방법이 가능하다.
  • 하지만 도체의 길이를 늘려도 힘의 방향은 바뀌지 않는다.
  • 따라서 정답은 3번

문제 3 정답: 4) 화면 바깥쪽

  • 검지(자기장) → 아래 방향(↓)
  • 엄지(운동 방향) → 오른쪽(→)
  • 오른손을 이용해 중지를 펴면 화면 바깥쪽을 가리킴 → 정답은 4번

문제 4 정답: 4) 도체의 길이를 늘린다.

  • 유도 전류의 방향을 바꾸려면
    1. 자기장의 방향을 바꾸거나
    2. 도체의 운동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 하지만 도체의 길이를 늘리는 것은 전류 방향과 무관하다.
  • 따라서 정답은 4번

문제 5 정답: 2) 시계 반대 방향

  • 오른손의 엄지를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두고, 나머지 손가락을 감으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감긴다.
  • 따라서 정답은 2번

문제 6 정답: 3) 오른손 나사 법칙

  • 코일에서 자기장의 방향을 구할 때 오른손 나사 법칙을 사용한다.
  • 플레밍의 왼손/오른손 법칙은 전류, 자기장, 힘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정답이 아니다.
  • 따라서 정답은 3번

 


위 개념 문제들을 풀어보면서 이제 플레밍의 법칙과 오른손 나사 법칙이 더 명확하게 이해됐을 겁니다! 플레밍의 손 법칙과 암페어의 오른 나사 법칙은 전자기학에서 전류, 자기장, 힘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하는 아주 중요한 규칙입니다. 전기기사의 전자기학 파트, ncs 전기직무, 물리학, 전자기학 문제 풀이 시 아주 기본이 되는 파트이니 꼭! 개념을 확실히 잡으시고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 🔽

패러데이의 법칙, 렌츠의 법칙

 

패러데이의 법칙, 렌츠의 법칙

전자기 유도 현상은 우리 일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전기, 모터, 변압기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 기기의 원리가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 법칙이 바로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favdays.com

 

정전용량이란? 개념 정리 및 공식 정리

 

정전용량이란? 개념 정리 및 공식 정리

정전용량은 전도체가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도체의 형태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 구형 축전기는 두 개의 도체 사이에서 전위를 형성하는 반면, 단독 구 도체는 무한 원점을 기준으

favdays.com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전문 용어 간단 정리본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전문 용어 간단 정리본

전기기사를 공부하면서 처음 보는 용어들도 많고, 평상시에 잘 안 쓰이는 용어들 때문에 개념을 이해하시는 데 많이 어려우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핵심 전문 용어

favday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