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his or that
반응형

Engineering/전기18

파두장, 파미장이란? 파고값, 뇌서지, 개폐서지 전기기사 시험에서 전력공학, 변압기의 절연 내력과 관련되어 등장하는 파두장, 파미장, 파고값, 뇌서지, 개폐서지, 충격파 등 해당 용어를 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뇌)전압 파형을 통해 파두장과 파미장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 드리고, 문제를 풀면서 뇌서지, 개폐서지와 시험에 나오는 꼭 알아야 하는 중요 내용에 대해서도 다뤄보았습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 ★ ★ ★ ★ 위 그래프를 통해 파두장과 파미장을 간단하게 알려드리면, T1을 파두장, T2를 파미장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파형의 가장 높은 최대 지점을 파고점, 파고값, BIL(=crest value)라고 합니다.위 파형의 상승 그래프에서 peak (BIL)기준으로 30%와 90% 되는 순간을 점(A, B)으로 찍고, .. 2025. 4. 17.
가공지선과 매설지선 그 차이점은? 의미, 목적, 비교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 시험이나 실무에서 자주 다뤄지는 가공지선과 매설지선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전기기사의 전력공학 파트를 보면 가공지선, 매설지선, 역섬락 등 이와 관련된 기출 문제들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가공지선과 매설지선의 의미, 목적, 설치 방법 그리고 이 두 가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며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에 기출문제도 구성해보았으니 한번 풀어보세요! 🔶 1.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 개요가공지선은 송전선로의 철탑 위쪽에 설치된 접지용 도선으로, 일반적으로 피뢰선이라고도 합니다. 번개로부터 송전선로를 보호하는 주요 역할을 하며, 고전압 송전선로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가공지선은 번개 또는 뇌로 인한 고전압을 받았을 때 .. 2025. 4. 16.
와류손이란? 개념, 원인, 특징, 관련 문제 이번 글에서는 변압기 손실 중에서 무부하손 -> 철손 -> 와류손의 개념, 원인,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다뤄보고 마지막에는 관련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이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는 무부하손 중 히스테리시스손에 대해 다뤄봤는데, 위 개념에 대해서도 궁금하시면 이전 글을 함께 읽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와류손(Eddy Current Loss)이란?와류손은 교류 자기장이 변화할 때, 도체 내부에 유도전류(와류)가 발생하여 생기는 에너지 손실입니다. 이 손실은 철심 내부에 흐르는 불필요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 손실로, 전동기, 변압기, 발전기 등의 철심이 교류 자기장에 노출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회전자와 같은 철판에 유기되는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2025. 4. 15.
히스테리시스손이란? 원인, 특징, 전기기사 문제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 필기 문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손'의 개념, 원인, 특징 그리고 관련 전기기사 문제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문제를 보면 히스테리시스손이 뭐지? 하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번 글을 통해 변압기 손실 중에서 '히스테리시스 손'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련 지식을 쌓는 데 도움이 되고자 작성해보았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 히스테리시스손이란?철심이 교류 전류에 의해 자화되었다가 탈자되는 과정에서 자화 방향이 바뀔 때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은 주로 자기 이력 곡선 (Hysteresis Loop)의 면적에 해당됩니다. 철심 내부에서 도메인(자구)들이 방향을 바꾸는 데 에너지가 들기 때문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열로 방출되기 때문에 기기 발열의 원인이 되고.. 2025. 4. 14.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란? 개념, 공식, 관계, 예제 문제 직류, 교류 (출처: SK 에너지 백과) 이번 글에서는 물리학, 전력 공학, 회로 이론, 전기기기 등 전기기사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인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의 개념, 둘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며, 회로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겠습니다. 이후 관련 문제들을 풀어보며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에 대해 잘 이해하셨는지 검증해보시길 바랍니다! 임피던스(Impedance)와 어드미턴스(Admittance)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는 교류(AC) 회로에서 전류와 전압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1. 임피던스(Impedance, Z)임피던스는 교류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저항(Resistance, R)과 리액.. 2025. 3. 28.
전기기사 발전소 설비 관련 공식 모음 🔹 1. 발전소 설비 용량 관련 공식🔸 개념 설명발전소의 설비 용량과 부하 특성은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1. 설비 이용률 (Utilization Factor, UF) 설치된 설비 용량 중 최대 수요 전력이 차지하는 비율발전소가 설치된 설비 용량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 나타냄 2. 부하율 (Load Factor, LF)일정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소비되는 전력의 비율.하루, 한 달, 혹은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부하를 사용하는지를 나타냄. 3. 수용률 (Demand Factor, DF)전체 부하 대비 최대 수요 전력이 차지하는 비율.총 부하에 대해 실제로 얼마나 수요가 발생했는지를 의미. 4. 설비 이용률과 부하율의 관계설비 이용률은 부하율과 수용률의 곱으로 표현할 수..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