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emi engineer's study room
반응형

전체 글52

동기 전동기 위상특성곡선(V곡선)이란? 동기 전동기 작동 원리, 기동 방법 Working of Synchronous Motor - YouTube동기 전동기 원리 (출처 유튜브 Working of Synchronous Motor - YouTube ) 동기전동기의 위상 특성 곡선, 흔히 V-곡선(V-Curve)이라고 부르는 건 전기기기나 제어공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입니다. 먼저 동기 전동기란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V곡선과 이 곡선이 무엇을 나타내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동기 전동기란?동기 전동기는 동기속도로 회전하는 전동기를 말합니다. 동기 전동기는 고정자 3상 권선에 3상 교류를 흘려주면 회전자가 회전하는 방식이며, 회전자측은 3상 유도 전동기와 동일한 구조입니다. 즉 동기 전동기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 자계가 발생하는 원리와 같습니다. 다만, 회.. 2025. 4. 22.
전기기사 논리식, 논리등가회로, 드모르간의 법칙, 불 대수 전기기사 제어공학 파트의 논리등가식과 논리표(진리표), 불 대수, 드모르간의 법칙에 대해 설명한 뒤, 실제 전기기사 필기 기출 문제를 풀어보면서 개념 이해를 해보겠습니다. 위 개념들은 회로 이론의 기초 중 하나고, 제어 시스템에서도 많이 활용됩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논리등가식(Logical Equivalence Equation)● 정의:논리등가식은 논리 연산자(AND, OR, NOT 등)를 이용해서 어떤 논리 회로나 제어 조건을 수식으로 표현한 것입니다.쉽게 말해, 여러 입력 신호가 있을 때 이들이 어떤 조건을 만족할 때 출력이 1(참)이 되는지를 수식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 ● 주요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기호만 보고도 무슨 연산자인지 아셔야 합니다.✅ 논리표(진리표, Trut.. 2025. 4. 21.
베르누이 정리란? 수력 발전 공식, 수차, 발전기 출력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는 유체역학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유체 내에서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먼저 전제 조건과 함께 세 가지 에너지 형태를 알아야 해요. 이후 전기기사에 베르누이 정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베르누이의 정리 (Bernoulli's equation)는 1738년 네덜란드 과학자 다니엘 베르누이가 발표한 정리입니다. 운동하고 있는 유체(공기, 액체)내에서 속력, 압력, 높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유체역학의 정리를 말합니다. 🔧 전제 조건 (베르누이 정리가 성립하기 위한 조건)비압축성 유체 (밀도가 일정한 유체)비점성 유체 (마찰이 없는 유체)유선 흐름 (turbulence 없는, 층류.. 2025. 4. 19.
계기용 변압기란? 권선형, 콘덴서형, CT, PT? 전기기사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계기용 변압기(Instrument Transformer) 중에서도 권선형과 콘덴서형은 전압을 측정하거나 보호계전기에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전압 변압기(Voltage Transformer, VT 또는 PT)의 일종입니다. 권선형과 콘덴서형에 대해 먼저 알아본 후, CT와 PT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우선 변압기와 계기용 변압기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전력용 변압기를 의미합니다. 전력용 변압기는 전압을 변성하여 전력 부하(전등, 전열, 전동기 등)과 연결하는 것을 말하고,계기용 변압기는 전압을 변성하여 계기(전압계, 부족전압계전기, 과전압계전기 등)과 연결하는 것을 말합니다.여기서 변성은 전압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 또는 전기의 성질을 .. 2025. 4. 19.
파두장, 파미장이란? 파고값, 뇌서지, 개폐서지 전기기사 시험에서 전력공학, 변압기의 절연 내력과 관련되어 등장하는 파두장, 파미장, 파고값, 뇌서지, 개폐서지, 충격파 등 해당 용어를 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뇌)전압 파형을 통해 파두장과 파미장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 드리고, 문제를 풀면서 뇌서지, 개폐서지와 시험에 나오는 꼭 알아야 하는 중요 내용에 대해서도 다뤄보았습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 ★ ★ ★ ★ 위 그래프를 통해 파두장과 파미장을 간단하게 알려드리면, T1을 파두장, T2를 파미장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파형의 가장 높은 최대 지점을 파고점, 파고값, BIL(=crest value)라고 합니다.위 파형의 상승 그래프에서 peak (BIL)기준으로 30%와 90% 되는 순간을 점(A, B)으로 찍고, .. 2025. 4. 17.
가공지선과 매설지선 그 차이점은? 의미, 목적, 비교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 시험이나 실무에서 자주 다뤄지는 가공지선과 매설지선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전기기사의 전력공학 파트를 보면 가공지선, 매설지선, 역섬락 등 이와 관련된 기출 문제들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가공지선과 매설지선의 의미, 목적, 설치 방법 그리고 이 두 가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며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에 기출문제도 구성해보았으니 한번 풀어보세요! 🔶 1.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 개요가공지선은 송전선로의 철탑 위쪽에 설치된 접지용 도선으로, 일반적으로 피뢰선이라고도 합니다. 번개로부터 송전선로를 보호하는 주요 역할을 하며, 고전압 송전선로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가공지선은 번개 또는 뇌로 인한 고전압을 받았을 때 .. 2025. 4. 16.
와류손이란? 개념, 원인, 특징, 관련 문제 이번 글에서는 변압기 손실 중에서 무부하손 -> 철손 -> 와류손의 개념, 원인,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다뤄보고 마지막에는 관련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이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는 무부하손 중 히스테리시스손에 대해 다뤄봤는데, 위 개념에 대해서도 궁금하시면 이전 글을 함께 읽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와류손(Eddy Current Loss)이란?와류손은 교류 자기장이 변화할 때, 도체 내부에 유도전류(와류)가 발생하여 생기는 에너지 손실입니다. 이 손실은 철심 내부에 흐르는 불필요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 손실로, 전동기, 변압기, 발전기 등의 철심이 교류 자기장에 노출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회전자와 같은 철판에 유기되는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2025.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