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emi engineer's study room
반응형

전기기사37

베르누이 정리란? 수력 발전 공식, 수차, 발전기 출력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는 유체역학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유체 내에서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먼저 전제 조건과 함께 세 가지 에너지 형태를 알아야 해요. 이후 전기기사에 베르누이 정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베르누이의 정리 (Bernoulli's equation)는 1738년 네덜란드 과학자 다니엘 베르누이가 발표한 정리입니다. 운동하고 있는 유체(공기, 액체)내에서 속력, 압력, 높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유체역학의 정리를 말합니다. 🔧 전제 조건 (베르누이 정리가 성립하기 위한 조건)비압축성 유체 (밀도가 일정한 유체)비점성 유체 (마찰이 없는 유체)유선 흐름 (turbulence 없는, 층류.. 2025. 4. 19.
계기용 변압기란? 권선형, 콘덴서형, CT, PT? 전기기사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계기용 변압기(Instrument Transformer) 중에서도 권선형과 콘덴서형은 전압을 측정하거나 보호계전기에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전압 변압기(Voltage Transformer, VT 또는 PT)의 일종입니다. 권선형과 콘덴서형에 대해 먼저 알아본 후, CT와 PT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우선 변압기와 계기용 변압기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전력용 변압기를 의미합니다. 전력용 변압기는 전압을 변성하여 전력 부하(전등, 전열, 전동기 등)과 연결하는 것을 말하고,계기용 변압기는 전압을 변성하여 계기(전압계, 부족전압계전기, 과전압계전기 등)과 연결하는 것을 말합니다.여기서 변성은 전압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 또는 전기의 성질을 .. 2025. 4. 19.
파두장, 파미장이란? 파고값, 뇌서지, 개폐서지 전기기사 시험에서 전력공학, 변압기의 절연 내력과 관련되어 등장하는 파두장, 파미장, 파고값, 뇌서지, 개폐서지, 충격파 등 해당 용어를 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뇌)전압 파형을 통해 파두장과 파미장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 드리고, 문제를 풀면서 뇌서지, 개폐서지와 시험에 나오는 꼭 알아야 하는 중요 내용에 대해서도 다뤄보았습니다. 함께 알아볼까요? ★ ★ ★ ★ ★ 위 그래프를 통해 파두장과 파미장을 간단하게 알려드리면, T1을 파두장, T2를 파미장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파형의 가장 높은 최대 지점을 파고점, 파고값, BIL(=crest value)라고 합니다.위 파형의 상승 그래프에서 peak (BIL)기준으로 30%와 90% 되는 순간을 점(A, B)으로 찍고, .. 2025. 4. 17.
가공지선과 매설지선 그 차이점은? 의미, 목적, 비교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 시험이나 실무에서 자주 다뤄지는 가공지선과 매설지선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전기기사의 전력공학 파트를 보면 가공지선, 매설지선, 역섬락 등 이와 관련된 기출 문제들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가공지선과 매설지선의 의미, 목적, 설치 방법 그리고 이 두 가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며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에 기출문제도 구성해보았으니 한번 풀어보세요! 🔶 1.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 개요가공지선은 송전선로의 철탑 위쪽에 설치된 접지용 도선으로, 일반적으로 피뢰선이라고도 합니다. 번개로부터 송전선로를 보호하는 주요 역할을 하며, 고전압 송전선로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가공지선은 번개 또는 뇌로 인한 고전압을 받았을 때 .. 2025. 4. 16.
진상 전류, 지상 전류란? 개념, 공식, 활용, 둘의 관계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의 전력 공학을 공부하면 자주 볼 수 있는 용어인 진상 전류와 지상 전류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전기기사를 공부하면 전문 용어 때문에 개념 이해 또는 문제 풀이 시 어려움을 많이 겪습니다. 저도 공부하면서 헷갈리고 몰랐던 용어들에 대해서 공부하는 차원으로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위 전류의 개념, 공식에 대해서 이해하신 뒤, 예제 문제를 풀어보면서 잘 이해하셨는지 검증해 보는 시간을 가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진상전류와 지상전류 (Leading & Lagging Current)진상전류와 지상전류는 교류(AC)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Phase Difference)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특히, 교류 회로에서 리액턴스(Inductive, Capacit.. 2025. 3. 28.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란? 개념, 공식, 관계, 예제 문제 직류, 교류 (출처: SK 에너지 백과) 이번 글에서는 물리학, 전력 공학, 회로 이론, 전기기기 등 전기기사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인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의 개념, 둘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며, 회로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겠습니다. 이후 관련 문제들을 풀어보며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에 대해 잘 이해하셨는지 검증해보시길 바랍니다! 임피던스(Impedance)와 어드미턴스(Admittance)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는 교류(AC) 회로에서 전류와 전압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1. 임피던스(Impedance, Z)임피던스는 교류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저항(Resistance, R)과 리액..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