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his or that
반응형

전기기기3

와류손이란? 개념, 원인, 특징, 관련 문제 이번 글에서는 변압기 손실 중에서 무부하손 -> 철손 -> 와류손의 개념, 원인,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다뤄보고 마지막에는 관련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이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는 무부하손 중 히스테리시스손에 대해 다뤄봤는데, 위 개념에 대해서도 궁금하시면 이전 글을 함께 읽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와류손(Eddy Current Loss)이란?와류손은 교류 자기장이 변화할 때, 도체 내부에 유도전류(와류)가 발생하여 생기는 에너지 손실입니다. 이 손실은 철심 내부에 흐르는 불필요한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 손실로, 전동기, 변압기, 발전기 등의 철심이 교류 자기장에 노출될 때 주로 발생합니다. 회전자와 같은 철판에 유기되는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2025. 4. 15.
히스테리시스손이란? 원인, 특징, 전기기사 문제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 필기 문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손'의 개념, 원인, 특징 그리고 관련 전기기사 문제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문제를 보면 히스테리시스손이 뭐지? 하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번 글을 통해 변압기 손실 중에서 '히스테리시스 손'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련 지식을 쌓는 데 도움이 되고자 작성해보았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 히스테리시스손이란?철심이 교류 전류에 의해 자화되었다가 탈자되는 과정에서 자화 방향이 바뀔 때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은 주로 자기 이력 곡선 (Hysteresis Loop)의 면적에 해당됩니다. 철심 내부에서 도메인(자구)들이 방향을 바꾸는 데 에너지가 들기 때문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열로 방출되기 때문에 기기 발열의 원인이 되고.. 2025. 4. 14.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전문 용어 간단 정리본 전기기사를 공부하면서 처음 보는 용어들도 많고, 평상시에 잘 안 쓰이는 용어들 때문에 개념을 이해하시는 데 많이 어려우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핵심 전문 용어들을 간단하게 정리하여 전기기사를 준비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작성해보았습니다. 핵심 용어들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셔서 전기기사 준비 잘하시길 응원합니다! ※ 전기 기본 개념전압 (V, Voltage): 전기를 밀어주는 힘 (예: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과 같음).전류 (A, Ampere): 전기의 흐름 (예: 수도관을 흐르는 물의 양).저항 (Ω, Ohm):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 (예: 좁은 수도관은 물이 적게 흐르는 것과 같음).전력 (W, Watt): 실제로 사용되는 전기의 양 (전압 × 전류).. 2025.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