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를 공부하면서 처음 보는 용어들도 많고, 평상시에 잘 안 쓰이는 용어들 때문에 개념을 이해하시는 데 많이 어려우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핵심 전문 용어들을 간단하게 정리하여 전기기사를 준비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작성해보았습니다. 핵심 용어들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셔서 전기기사 준비 잘하시길 응원합니다!
※ 전기 기본 개념
- 전압 (V, Voltage): 전기를 밀어주는 힘 (예: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과 같음).
- 전류 (A, Ampere): 전기의 흐름 (예: 수도관을 흐르는 물의 양).
- 저항 (Ω, Ohm):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 (예: 좁은 수도관은 물이 적게 흐르는 것과 같음).
- 전력 (W, Watt): 실제로 사용되는 전기의 양 (전압 × 전류).
1. 회로 이론 및 전자기학
(전기의 기본 원리와 회로 이론을 다루는 과목)
- 단상(1Φ, Single Phase): 하나의 교류 전압으로 동작하는 전력 시스템 (가정용 220V).
- 3상(3Φ, Three Phase): 세 개의 교류 전압을 사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방식 (산업용 380V).
- 유효전력 (P, Active Power): 실제로 일을 하는 전력 (단위: W).
- 무효전력 (Q, Reactive Power): 전력은 소비되지 않지만, 전력 시스템에서 필요한 전력 (단위: var).
- 피상전력 (S, Apparent Power):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합성 전력 (단위: VA).
- 역률 (Power Factor): 실제로 사용되는 전력 비율 (높을수록 효율이 좋음).
- 공진 (Resonance): 교류 회로에서 리액턴스가 0이 되어 최대 전류가 흐르는 현상.
- 직류 (DC, Direct Current): 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기 (예: 건전지).
- 교류 (AC, Alternating Current): 방향이 바뀌는 전기 (예: 가정용 220V 전원).
- 임피던스 (Z, Impedance): 교류에서 저항과 유사한 개념 (저항 + 리액턴스).
- 리액턴스 (Reactance): 교류에서 코일(인덕터)과 콘덴서(캐패시터)가 저항처럼 작용하는 것.
- 유도 리액턴스 (XL = ωL): 코일이 교류에 대해 가지는 저항 성분.
- 용량 리액턴스 (XC = 1/ωC): 콘덴서가 교류에 대해 가지는 저항 성분.
2. 전기기기
(변압기, 전동기, 발전기 등의 전기 기계를 다루는 과목)
- 직권(Series Wound): 전동기에서 계자 코일과 전기자가 직렬로 연결된 방식 (고속에서 위험할 수 있음).
- 분권(Shunt Wound): 전동기에서 계자 코일과 전기자가 병렬로 연결된 방식 (속도 변화가 적음).
- 복권(Compound Wound): 직권과 분권의 장점을 혼합한 전동기.
- 유도기전력 (Induced EMF): 자계를 변화시켜 전압을 유도하는 원리.
- 자속 (Magnetic Flux): 자기장의 총량을 나타내는 값 (단위: Wb).
- 철손 (Iron Loss): 변압기나 전동기에서 철심에서 발생하는 손실 (히스테리시스 손실 + 와류손).
- 동손 (Copper Loss): 전동기 및 변압기의 권선에서 발생하는 손실 (I²R 손실).
- 변압기 (Transformer): 전압을 바꾸는 장치 (예: 전봇대 위의 박스).
- 유도전동기 (Induction Motor): 코일을 이용해 회전하는 모터 (가정용 선풍기, 공장 기계 등).
- 동기발전기 (Synchronous Generator): 일정한 주파수의 전기를 만들어내는 발전기.
3. 전력공학
(발전소, 송전, 배전 등 전력 시스템을 다루는 과목)
- 단락용량 (Short Circuit Capacity): 고장 발생 시 전력 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전력.
- 손실계수 (Loss Factor): 전력 손실을 나타내는 계수.
- 송전효율 (Transmission Efficiency): 송전 시 발생하는 손실을 고려한 전력 효율.
- 배전계통 (Distribution System): 변전소에서 각 가정 및 공장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
- 차단기 (Circuit Breaker): 과전류가 흐를 때 전력을 차단하는 장치.
- 유도장해 (Inductive Interference): 고압 전력선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다른 회로에 영향을 주는 현상.
- 고조파 (Harmonics): 기본 주파수(60Hz)의 정수배 주파수로, 전력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
- 송전선 (Transmission Line): 발전소에서 멀리 전기를 보내는 선.
- 배전선 (Distribution Line): 전기를 각 가정이나 공장에 분배하는 선.
- 단락 (Short Circuit): 전선이 서로 닿아 회로가 망가지는 현상.
- 절연 (Insulation): 전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보호 장치.
4. 전기설비 및 법규
(전기 안전, 접지, 법규 및 설비 기준을 다루는 과목)
- 절연내력 (Dielectric Strength): 절연체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전압.
- 접지저항 (Ground Resistance): 접지선이 땅과 이루는 저항 (낮을수록 좋음).
- 정격전압 (Rated Voltage): 전기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최대 전압.
- 누전(Leakage Current): 전기가 예상치 못한 경로로 흐르는 현상.
- 과전압(Overvoltage): 순간적으로 정격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발생하는 현상.
- 차폐(Shielding): 외부 전자기장의 영향을 차단하는 방법.
- 피뢰기 (Lightning Arrester): 낙뢰로 인한 전압 상승을 막아주는 장치.
- 접지 (Grounding): 전기를 땅으로 흘려서 감전을 막는 장치.
- 누전차단기 (ELCB,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전기가 새면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 과전류차단기 (OCB, Overcurrent Circuit Breaker): 전류가 너무 많이 흐를 때 전기를 차단하는 장치.
전기기사 시험에서 나오는 주요 개념들을 과목별로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핵심 용어들의 의미를 쉽게 이해하셔서 전기기사, NCS 전기직 준비 잘하시길 응원합니다 :)
'Engineering >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공학 수력, 화력, 원자력 비교 정리 (0) | 2025.03.18 |
---|---|
피뢰기와 피뢰침, 둘의 차이점은? (1) | 2025.03.17 |
직류 발전기란? 작동 원리, 구조, 교류 발전기와 차이점 (1) | 2025.03.16 |
동기 발전기란? 작동 원리, 구조, 특징 (0) | 2025.03.16 |
전기 사고 비교: 단락 사고, 지락 사고, 과부하 사고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