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this or that
Engineering/전기

히스테리시스손이란? 원인, 특징, 전기기사 문제

by favdays 2025. 4. 14.

변압기 손실
변압기 손실 (출처 쩌_리 네이버 블로그)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 필기 문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손'의 개념, 원인, 특징 그리고 관련 전기기사 문제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문제를 보면 히스테리시스손이 뭐지? 하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번 글을 통해 변압기 손실 중에서 '히스테리시스 손'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련 지식을 쌓는 데 도움이 되고자 작성해보았습니다. 그럼 함께 알아볼까요?

 

✅ 히스테리시스손이란?

철심이 교류 전류에 의해 자화되었다가 탈자되는 과정에서 자화 방향이 바뀔 때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은 주로 자기 이력 곡선 (Hysteresis Loop)의 면적에 해당됩니다. 철심 내부에서 도메인(자구)들이 방향을 바꾸는 데 에너지가 들기 때문입니다. 최종적으로는 열로 방출되기 때문에 기기 발열의 원인이 되고, 효율 저하를 가져옵니다.

여기서 '자화'란 자기장 안의 물체가 자기를 띠는 현상, '탈자'란 자성을 잃는 것을 의미합니다.


✅ 히스테리시스손의 원인

철심을 구성하는 자성체 내부의 자구(자기 영억)가 자화와 탈자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재배열됩니다. 이 자구들이 재배열 될 때는 마찰이나 저항처럼 에너지가 필요하고, 결론은 -> 손실로 이어집니다.

교류에서는 이 과정이 계속 반복되므로 손실이 누적됩니다. (그럼 효율이 많이 저하되겠지요?)

히스테리시스 곡선 (B-H 곡선)
히스테리시스 곡선 (B-H 곡선) (출처: 윤씨네 네이버 블로그)

 

히스테리시스 곡선 = B-H 곡선은 전혀 자화되지 않는 자성재료에 자기장을 가했을 때 자기장H과 자속밀도B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위 곡선을 하나하나 분석해보면,

1. 점선 -> 점 a: 처음 자성재료에 자기장을 가해서 더이상 자속밀도가 증가하지 않는 '자기 포화 상태'로 변화됨

2. 점 a -> 점 b: 자기장의 세기를 낮춰 자기장은 0이 되지만, 자속밀도는 0이 되지 않음 (자속밀도가 0이 아니다 -> 잔류자기가 존재한다)

3. 점 b -> 점 c: 자기장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자속밀도가 0인 상태로 만들 수 있음 (자속밀도를 0으로 만들기 위해 추가로 가해진 자기장의 힘 = 보자력), (불필요한 잔류자기를 없애기 위해 추가적인 자기장의 힘 = 손실)

4. 점 c -> 점 d: 반대방향의 자기장이 계속 가해지면서 다시 자기 포화 상태로 변화

5. 점 d -> 점 e: 자기장의 세기를 낮춰 자기장이 0이 되지만, 자속밀도는 0이 되지 않음

6. 점 e -> 점 f: 자기장의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자속밀도가 0인 상태로 만들 수 있음

7. 이후 계속 반복함

즉, 잔류자기를 없애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자기장에 의해서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잔류자기에 따라 생기는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면적 =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의미합니다.


✅ 히스테리시스손 계산 공식

히스테리시스손 공식

  • : 히스테리시스 손실 (W)
  • η: 재료 상수 (히스테리시스 계수, 철심 재료에 따라 다름)
  • : 주파수 (Hz)
  • : 최대 자속 밀도 (T)
  • :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지수 (보통 1.6~2.5)
  • : 철심의 부피 (m³)

✅ 히스테리시스손의 특징

  • 주파수에 비례: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손실도 커집니다.
  • 자속 밀도에 지수적으로 비례: 의 증가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재료의 영향을 많이 받음: 히스테리시스손을 줄이기 위해 규소강판, 아몰퍼스 금속 등을 사용합니다.
  • 히스테리시스손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으며, 자속 밀도와 주파수만 고정되면 항상 일정합니다.

✅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법

  • 자기 이력 특성이 좁은 재료 사용 (즉, 이력 곡선 면적이 작은 재료)
  • 규소강판(Silicon Steel) 사용 → 히스테리시스손 감소
  • 절연 처리된 얇은 철심 판을 적층 → 와류손과 함께 감소 가능
  • 자속 밀도와 주파수의 최적화

 

 

다음으로는 전기기사 필기시험에 자주 나오는 히스테리시스손 관련 기출문제 3문제를 준비했습니다. 개념 이해와 공식 적용 능력을 체크할 수 있도록 문제를 구성했습니다. 한번 풀어볼까요?


🔹 문제 1

히스테리시스 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주파수와 자속밀도에 무관하다.
B. 철심의 비저항이 클수록 커진다.
C. 철심 재료의 이력곡선 면적에 비례한다.
D. 자속밀도와 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 문제 2

자기재료의 히스테리시스손은 다음 중 무엇과 관계가 가장 깊은가?

A. 비투자율
B. 비저항
C. 이력곡선 면적
D. 전류의 평균값


🔹 문제 3

히스테리시스손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 문제 정답

  1. C
  2. C
  3. B

이처럼 히스테리시스손은 자성체의 이력곡선 특성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자속밀도와 주파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손실입니다. 시험에서는 개념뿐 아니라 관련 수식과 특징을 정확히 기억하는 것이 중요해요. 핵심만 잘 정리해두면 계산 문제와 객관식 모두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을 것입니다. 모두 좋은 결과 받으시길 바라고, 다음 글에서 봬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와류손이란? 개념, 원인, 특징, 관련 문제

 

와류손이란? 개념, 원인, 특징, 관련 문제

이번 글에서는 변압기 손실 중에서 무부하손 -> 철손 -> 와류손의 개념, 원인,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다뤄보고 마지막에는 관련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이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

favdays.com

패러데이 법칙, 렌츠의 법칙

 

패러데이 법칙, 렌츠의 법칙

전자기 유도 현상은 우리 일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전기, 모터, 변압기와 같은 다양한 전자기 기기의 원리가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 법칙이 바로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favday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