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작성자가 전기기사 필기 공부하다가 헷갈려서 작성해본 "과년도 2024 KEC 전기설비" 관련 기출 문제 14개 입니다. 전기기사 필기를 준비하고 계시다면 검증 및 복습 겸 한번 풀어보세요. (참고로 전기기사 필기 cbt 문항으로 랜덤 출제되었던 문제들입니다.)
Q1. 다음 중 이상 시 상정하중에 속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각도주에 있어서의 수평횡하중
② 전선배치가 비대칭으로 인한 수직편심하중
③ 전선 절단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에 의한 하중
④ 전선로에 현저한 수직각도가 있는 경우의 수직하중
답: ② 전선배치가 비대칭으로 인한 수직편심하중
해설: 이상 시 상정하중; 철탑의 강도계산에 사용하는 이상 시 상정하중은 풍압이 전선로에 직각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의 하중을 전선 및 가섭선의 절단으로 인한 불평균하중을 계산하여 각 부재에 대한 이들의 하중 중 그 부재에 큰 응력이 생기는 쪽의 하중을 채택하는 것으로 한다.
Q2. 저압 연접인입선은 인입선에서 분기하는 점으로부터 몇 [m]를 초과하는 지역에 미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하는가?
① 60
② 80
③ 100
④ 120
답: ③ 100
해설: 연접 인입선의 시설; 저압 연접(이웃 연결) 인입선은 다음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1. 인입선에서 분기하는 점으로부터 100m를 초과하는 지역에 미치지 아니할 것
2. 폭 5m 를 초과하는 도로를 횡단하지 아니할 것
3. 옥내를 통과하지 아니할 것
Q3. 전압을 구분하는 경우 교류에서 저압은 몇 [kV] 이하인가?
① 0.5
② 1
③ 1.5
④ 7
답: ② 1
해설: 적용 범위; 전압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1. 저압: 교류는 1kV 이하, 직류는 1.5kV 이하인 것
2. 고압: 교류는 1kV를, 직류는 1.5kV를 초과하고, 7kV 이하인 것
3. 특고압: 7kV를 초과하는 것
Q4. 합성수지 몰드공사에서 옳지 못한 것은?
① 전선은 절연전선일 것
② 합성수지몰드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③ 합성수지몰드는 홈의 폭 및 깊이가 3.5[cm] 이하
④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폭이 6[cm] 이상
답: ④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폭이 6[cm] 이상
해설: 합성수지몰드공사;
1. 전선은 절연전선 사용(옥외용 비닐절연전선 사용 불가)
2. 합성수지 몰드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을 것
3. 합성수지 몰드는 홈의 폭 및 깊이가 3.5[cm] 이하일 것. 단,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폭이 5[cm] 이하로 할 것
4. 합성수지 몰드 상호간 및 합성수지 몰드와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접속할 것
Q5. 전기저장장치의 시설장소는 도로, 건물, 가연물질 등으로부터 몇 [m] 이상 이격해야 하는가?
① 0.75
② 1.0
③ 1.25
④ 1.5
답: ④ 1.5
해설: 전기저장장치의 시설장소 요구사항; 전기저장장치 시설장소는 주변 시설(도로, 건물, 가연물질 등)로부터 1.5[m] 이상 이격하고 다른 건물의 출입구나 피난계단 등 이와 유사한 장소로부터는 3[m] 이상 이격하여야 한다.
Q6. 절연성 바닥으로 된 비접지 장소에서 전기설비 상호간 국부등전위본딩을 해야 하는 경우는?
① 2.5[m] 이내
② 5.0[m] 이내
③ 7.5[m] 이내
④ 10[m] 이내
답: ① 2.5[m] 이내
해설: 비접지 국부등전위본딩; 절연성 바닥으로 된 비접지 장소에서 다음의 경우 국부등전위본딩을 하여야 한다.
1. 전기설비 상호간이 2.5m 이내인 경우
2. 전기설비와 이를 지지하는 금속체 사이
(전기 설비 또는 계통외도전부를 통해 대지에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Q7. 분산형전원설비에서 사업장의 설비용량 합계가 몇 kVA 이상인 경우 송배전계통과의 연결 상태 감시 및 유효전력, 무효전력, 전압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① 100
② 150
③ 200
④ 250
답: ④ 250
해설: 분산형전원 계통 연계설비의 시설; 분산형전원설비 사업자의 한 사업장의 설비 용량 합계가 250kVA 이상일 경우에는 송·배전계통과 연계지점의 연결상태를 감시 또는 유효전력, 무효전력 및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Q8.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사용전압이 60[kV]를 넘는 경우 전화선로의 길이 몇 [km]마다 유도전류가 3[uA]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① 12
② 40
③ 80
④ 100
답: ② 40
해설: 유도장해의 방지;
1. 사용전압이 60000[V] 이하인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12[km] 마다 유도전류가 2[uA]를 넘지 않도록 할 것
2. 사용전압이 60000[V]를 넘는 경우에는 전화선로의 길이 40[km]마다 유도전류가 3[uA]를 넘지 않도록 할 것
Q9. 전기저장장치의 전용건물에 이차전지를 시설할 경우 벽면으로부터 몇 m 이상 이격하여야 하는가?
① 0.5m 이상
② 1.0m 이상
③ 1.5m 이상
④ 2.0m 이상
답: ② 1.0m 이상
해설: 전용건물에 시설하는 경우; 이차전지는 벽면으로부터 1[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Q10. 접지시스템에서 주접지단자에 접속하여서는 안 되는 것은?
① 등전위본딩보체
② 접지도체
③ 보호도체
④ 보조보호등전위본딩도체
답: ④ 보조보호등전위본딩도체
해설: 주접지단자; 접지시스템에서 주접지단자에 다음의 도체들을 접속하여야 한다.
1. 등전위본딩도체
2. 접지도체
3. 보호도체
4. 기능성 접지도체
Q11. 피뢰시스템에서 등전위화를 위해 접속하는 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금속제 설비
② 구조물에 접속된 외부 도전성 부분
③ 내부피뢰시스템
④ 내부에 있는 절연된 부분
답: ④ 내부에 있는 절연된 부분
해설: 피뢰등전위본딩; 피뢰시스템의 등전위화는 다음과 같은 설비들을 서로 접속함으로써 이루어진다.
1. 금속제 설비
2. 구조물에 접속된 외부 도전성 부분
3. 내부시스템
Q12. 전기철도의 가공 선로측에서 발생한 지락 및 사고전류의 파급을 방지하기 위해 무엇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퓨즈
② 계전기
③ 개폐기
④ 피뢰기
답: ④ 피뢰기
해설: 전기철도의 설비를 위한 보호협조; 가공 선로측에서 발생한 지락 및 사고전류의 파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Q13. 전기울타리의 시설에 관한 다음 사항 중 틀린 것은?
① 전로의 사용전압은 600[V] 이하일 것
② 사람이 쉽게 출입하지 아니하는 곳에 시설할 것
③ 전선은 인장강도 1.38[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2[mm] 이상의 경동선일 것
④ 전선과 수목사이의 이격거리는 30[cm] 이상일 것
답: ① 전로의 사용전압은 600[V] 이하일 것
해설: 전기울타리;
1. 전기울타리는 사람이 쉽게 출입하지 아니하는 곳에 시설할 것
2. 전선은 인장강도 1.38[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2[mm] 이상의 경동선일 것
3. 전선과 이를 지지하는 기둥 사이의 이격거리는 25[mm] 이상일 것
4. 전선과 다른 시설물(가공 전선은 제외) 또는 수목과의 이격거리는 0.3[m] 이상일 것
5. 전기울타리를 시설한 곳에는 사람이 보기 쉽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위험표시를 할 것
Q14. 전기저장장치의 이차전지에서 자동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
② 제어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③ 전압 및 전류가 낮아지는 경우
④ 이차전지 모듈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
답: ③ 전압 및 전류가 낮아지는 경우
해설: 제어 및 보조장치; 전기저장장치의 이차전지는 다음에 따라 자동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1.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한 경우
2. 제어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3. 이차전지 모듈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
제가 전기기사 필기 공부하면서 헷갈렸던 KEC 전기설비 관련 문제 14개였습니다. 전기기사를 준비하고 계시는 모든 분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겠습니다.
'Engineering >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사 직류 전동기 속도 특성 곡선이란? (0) | 2025.05.07 |
---|---|
전동기, 발전기의 무부하 상태? 전부하 상태? 위상특성곡선 (0) | 2025.04.25 |
동기 전동기 위상특성곡선(V곡선)이란? 동기 전동기 작동 원리, 기동 방법 (0) | 2025.04.22 |
베르누이 정리란? 수력 발전 공식, 수차, 발전기 출력 (0) | 2025.04.19 |
계기용 변압기란? 권선형, 콘덴서형, CT, PT?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