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시험에서 다루는 수력, 화력, 원자력 발전은 각각의 발전 방식과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사 전력공학 과목 내용에 해당하는 수력, 화력, 원자력 각 발전 방식의 개념과 발전 원리, 장단점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1. 수력 발전 (Hydroelectric Power)
🔹 개요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댐이나 강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물을 낙하시켜 수차(터빈)를 돌리고, 이를 통해 전기를 생산합니다.
🔹 발전 원리
- 댐 건설 및 저수: 강이나 호수에 댐을 만들어 물을 저장합니다.
- 수로를 통해 물 공급: 높은 위치에서 물을 방출하여 낙차를 이용합니다.
- 터빈 구동: 낙하한 물이 터빈을 회전시킵니다.
- 발전기 작동: 터빈이 회전하면 연결된 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합니다.
- 변압 및 송전: 생성된 전기를 변압기를 통해 송전망으로 보냅니다.
🔹 장점
- 연료비가 없고 유지비가 저렴함
- 공해 배출이 없으며 친환경적
- 운영 수명이 길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 가능
🔹 단점
- 초기 건설 비용이 큼
- 환경 파괴 및 생태계 변화 가능성
- 강수량에 따라 발전량 변동
2. 화력 발전 (Thermal Power)
🔹 개요
화력 발전은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 발전 원리
- 연료 연소: 보일러에서 석탄, 석유, 천연가스를 연소하여 열을 생성합니다.
- 증기 발생: 연소된 열로 물을 가열하여 고온·고압의 증기를 생성합니다.
- 터빈 회전: 생성된 증기가 터빈을 회전시킵니다.
- 발전기 가동: 터빈이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합니다.
- 냉각 및 재사용: 사용된 증기는 응축기로 냉각되어 다시 물로 변환되어 보일러로 순환됩니다.
🔹 장점
- 발전량 조절이 쉬움 (부하 변동 대응 가능)
- 안정적인 전력 공급 가능
- 초기 건설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함
🔹 단점
- 이산화탄소(CO₂) 및 오염물질 배출
- 연료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
- 연료 고갈 문제 (석탄, 석유, 천연가스는 한정된 자원)
🔹 화력 발전의 종류
- 석탄 화력 발전: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연료비가 저렴하지만, 오염물질 배출이 많음.
- 가스 복합 화력 발전: 천연가스를 이용하며, 발전 효율이 높고 오염물질 배출이 적음.
- 중유·경유 발전: 긴급 발전용으로 사용되며, 연료비가 비쌈.
3. 원자력 발전 (Nuclear Power)
🔹 개요
원자력 발전은 우라늄-235, 플루토늄-239 등의 핵연료를 이용하여 핵분열을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증기를 생성하여 터빈을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 발전 원리
- 핵연료 장전: 원자로에 우라늄 연료봉을 장착합니다.
- 핵분열 반응 발생: 중성자가 우라늄 원자핵을 분열시키면서 큰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 증기 발생: 방출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해 증기를 생성합니다.
- 터빈 구동: 증기가 터빈을 회전시킵니다.
- 발전기 작동: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합니다.
- 냉각 및 재사용: 증기는 냉각수를 통해 물로 다시 변환되어 순환됩니다.
🔹 장점
- 발전 효율이 높고 대용량 전력 생산 가능
- 연료비가 저렴하며 안정적 공급 가능
- 이산화탄소 배출이 거의 없음 (환경친화적)
🔹 단점
- 방사능 위험 및 폐기물 처리 문제
- 사고 발생 시 피해가 큼 (예: 체르노빌, 후쿠시마 사고)
- 초기 건설 비용이 매우 높음
🔹 원자로 종류
- 경수로형 원자로 (PWR, BWR): 물을 냉각재 및 감속재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원자로.
- 고온가스로 (HTGR): 높은 온도에서 운전 가능하여 발전 효율이 높음.
- 중수로형 원자로 (CANDU): 중수를 감속재로 사용하여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활용.
🔥 비교 요약
구분, 수력 발전,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
연료 | 물(중력에너지) | 석탄, 석유, 천연가스 | 우라늄, 플루토늄 |
장점 | 친환경적, 운영 비용 저렴 | 발전량 조절 용이, 초기 투자비 낮음 | 발전 효율 높음, CO₂ 배출 없음 |
단점 | 건설 비용 높음, 환경 영향 | 연료비 지속 발생, 오염물질 배출 | 방사능 위험, 폐기물 처리 문제 |
발전 방식 | 물 낙차 이용 | 연료 연소 후 증기 터빈 이용 | 핵분열 열 이용 |
📌 정리
- 수력 발전: 친환경적이지만 초기 건설 비용이 높고 자연 조건에 영향을 받음.
- 화력 발전: 안정적이고 조절이 용이하지만 연료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오염물질을 배출함.
- 원자력 발전: 높은 효율과 낮은 연료비가 장점이지만 방사능 및 안전 문제가 존재함.
전기기사 시험 또는 NCS 전기 전공 필기 시험에서는 수력, 화력, 원자력 각 발전 방식의 원리, 장단점, 비교 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수자원공사, 수력원자력과 같이 발전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곳은 각 발전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려운 개념도 하나씩 이해하다 보면 실력이 쌓여 있을 것입니다. 끝까지 힘내시고 좋은 결과 있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Engineering >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방전이란? 발생 원리, 특징, 섬락과 차이점 (0) | 2025.03.19 |
---|---|
섬락이란? 전력 설비에서 중요한 뇌섬락과 역섬락 (0) | 2025.03.19 |
피뢰기와 피뢰침, 둘의 차이점은? (1) | 2025.03.17 |
전기기사에 자주 나오는 전문 용어 간단 정리본 (0) | 2025.03.16 |
직류 발전기란? 작동 원리, 구조, 교류 발전기와 차이점 (1) | 2025.03.16 |